해외시장 현황
게시글 정보
대만 정부의 일본 식품 길들이기, 한국에는 새로운 기회
2015-06-02

대만 정부의 일본 식품 길들이기, 한국에는 새로운 기회

- 대만, 5월 15일부로 일본식품 수입규제 강화 실시 -

- 마잉주(馬英九)총통, “식품문제는 외교문제와 별개다!” -

 

 

 

□ 대만, 전 세계 세 번째의 일본 식품 多수입국

 

 ○ 대만 식량자급률은 약 30%로 해외 수입식품 의존도가 높은 편

  - 대만농업위원회(臺灣農委)에 따르면 2014년 대만 식량자급률은 33.3%로, 1984년 이래로 꾸준한 하락세(55.6%)를 보임.

  - 2012년 대만의 수입식품 규모는 2476억 뉴타이완달러로 2002년(845억 뉴타이완달러) 대비 3배 가까이 성장했으며, 최근 10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임.

   * 2013년도 한국 식량자급률은 47.2%임.

 

2007~2012년 대만 수입식품 시장규모 및 성장률

자료원: 대만 해관 수출입국, 대만 경제연구원 바이오테크센터,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정리

 

 ○ 대만 수입식품시장에서 큰 비중 차지하는 일본 식품

  - 일본 제품 선호경향이 강한 대만은 매년 10억 달러 규모의 일본 식품을 수입함. 이는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많은 양임.

  - 2007년부터 2012년까지 일본의 對대만 식품수출액 비중은 대만의 식품 수입액 상위 10개국에 속함.

 

2007~2012년 대만 수입식품 수입액 상위 10개국 비중

                        (단위: %)

순위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1

미국

37.2

미국

37.9

미국

34.7

미국

32.3

미국

30.5

미국

30.5

2

호주

7.6

호주

7.8

호주

7.2

호주

8.4

호주

8.1

브라질

9.8

3

중국

6.4

태국

6.5

태국

7.0

브라질

7.3

브라질

8.1

호주

7.7

4

뉴질랜드

 6.1

중국

6.2

중국

5.6

뉴질랜드

5.9

뉴질랜드

 6.7

뉴질랜드

6.4

5

태국

 5.9

뉴질랜드

5.3

브라질

5.6

중국

5.7

태국

6.6

태국

6.2

6

일본

5.0

일본

4.6

일본

4.8

태국

5.4

중국

5.6

중국

4.9

7

말레이시아

 3.3

말레이시아

3.3

뉴질랜드

4.7

일본

4.4

일본

3.8

일본

4.0

8

베트남

2.6

베트남

3.2

캐나다

3.3

말레이시아

3.2

말레이시아

3.3

말레이시아

3.1

9

캐나다

2.4

캐나다

2.7

베트남

3.1

베트남

2.7

베트남

2.8

베트남

3.1

10

인도네시아

2.1

인도네시아

2.1

말레이시아

2.9

캐나다

2.7

캐나다

2.5

캐나다

2.2

자료원: 대만경제연구원 바이오산업센터,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정리

 

□ 최근 후쿠시마 지역 식품 적발, 일본 식품에 대한 규제 강화로 이어져

 

 ○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방사능 위험에 대한 위기감이 비교적 적은 대만은 마트에서도 쉽게 일본산 식품을 볼 수 있음.

 

 ○ 최근 동일본 대지진 원전사고 주변지역 수입 금지대상 제품이 적발

  - 일본산 수입식품 문제가 이슈화됨.

 

 ○ 2015년 3월 27일 대만 장화현 위생국(彰化縣衛生局)은 위마오우(裕毛屋)슈퍼마켓의 장화현(彰化縣) 내 위치한 식품창고에서 수입금지대상인 원전 피해지역 식품 14종을 적발함.

  - 적발된 제품은 보름달 모양 쿠키-소월광병(小月光□), 커스타드크림(□士達醬粉), 아사히 16차(ASAHI十六茶), KitKat 미니 초콜릿(迷□KitKat巧克力□乾) 등 이상 14종임.

  - 대만 위생복리부(衛生福利部)는 위 제품들에 대해 전량 판매중단 명령을 내림.

  - 장화현 위생국 검사 결과, 원산지 허위표시를 통해 검열을 통과했다고 전함.

  - 이 밖에도 백화점, 일본 식품 전문 판매점 등에서 200여 종의 원산지 허위표시 일본 식품이 적발됨.

 

대만 위생국 직원의 일본 식품검사 모습(좌)과 발견된 원산지 허위표시 제품(우)

 

자료원: 대만 장화현 위생국(彰化縣衛生局)

 

 ○ 이와 관련해 2015년 5월 15일부터 일본 식품 수입규제 강화를 실시한다고 발표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 대만 위생복리부, 일본 특정지역 식품에 대해 방사능 수치 검사 증명 요구

  - 방사능 수치 검사는 일본 정부 혹은 정부기관의 정식 인증 절차를 통과해야 함.

 

방사능 수치 검사 대상 지역 및 품목

분류

수산물

찻잎제품

사탕과자류 및 곡류가공제품

지역

미야기(宮城), 이와테(岩手),

도쿄(東京), 에히메(愛媛)

도쿄(東京), 시즈오카(靜岡),

아이치(愛知), 오사카(大阪)

미야기(宮城), 시즈오카(靜岡),

도쿄(東京)

자료원: 대만 장화현 위생국(彰化縣衛生局)

 

  - 또한 대만으로 들여오는 모든 일본 농수산식품에 대해 산지증명을 필수로 요구

  - 일본 정부 혹은 일본 정부 인증기관, 기구에서 발급하는 산지증명서만 인정되며 모든 원산지 증명에는 도(道), 부(府), 현(縣)까지 상세하게 기록해야 함.

 

일본 특정지역 식품 방사능 수치 검사(좌) 및 산지증명(우)에 대한 공고문

 

        

자료원: 대만 위생복리부 식물약품관리서(台灣衛生福利部 藥物管理署)

 

□ 일본 정부에 대한 이례적인 강경 대응 - 대만 정부, 외교와 별개로 식품 안전 중시할 것

 

 ○ 마잉주(馬英九) 대만총통, "식품문제는 외교문제와 별개"라고 입장 표명

  - 또한 일본 식품의 산지 허위표시 문제는 투명하고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한다고 밝힘.

 

 ○ 일본 정부, 특사를 파견해 대만 정부에 일본 식품 수입규제 완화를 요구

  - 일본 아베 총리는 4월 29일 최측근 인사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자민당 총재를 대만 특사로 파견, 일본 식품의 안전성에 대해 설명하고 아베 총리의 전언을 마잉주(馬英九) 총통에게 전함.

  - 하야시 요시야마(林芳正) 일본 농림수산대신(農林水産大臣)은 과학적 근거에 의한 일본 식품 수입규제 완화(WTO SPS 협정 제2조 2항*)를 수차례에 걸쳐 부탁했음에도 대만 측이 내린 일방적인 조치는 유감이라고 밝힘.

  - 또한 원산지 허위표시 사건의 주체에 대해서는 어떠한 사실도 밝혀진 것이 없으며 방사능 문제와는 별개라며 선을 그음.

   * WTO SPS 협정: 세계무역기구 위생 및 검역조치에 관한 협정

 

 ○ 일본 정부,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고려중

  - 대만 위생복리부는 일본 수입식품에 대한 방사능 수치 검사 내용과 산지 증명은 한국과 중국에서 이미 시행중이며 전체적인 입장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발표했으며 강경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음.

  - 영국 BBC 보도에 따르면 대만 현 국민당 정부가 2016년 대선을 앞두고, 연이어 발생하는 대만 내 식품파동으로 인한 당지지도 하락을 염두에 두고 일본 식품 파동에 대해 강경한 자세를 보여주고자 하는 정치적 수단으로 분석

 

대만 정부, 일본 식품 수입규제강화 조치 일지 정리

날짜

사건

2015년 3월 27일

수입금지품목 대상인 동일본 대지진 피해지역 제품 200여 종 적발

4월 15일

대만 위생복리부, 일본 식품 수입규제 강화 실시 내용 발표

4월 27일

아베 일본 총리, 대만에 하기우다 고이치(萩生田光一) 자민당 총재 특사 파견 후 
대만 정부에 수입규제 완화 요청

5월 14일

대만-일본 정부 양측 간 일본 식품 수입규제 강화 관련 협상 결렬

5월 15일

대만 위생복리부, 일본 식품 수입규제 강화 조치 전면 실시

자료원: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자체정리

 

□ 시사점

 

 ○ 잇따른 식품 파동으로 신뢰 잃은 대만 식품시장, 신뢰 회복이 관건

  - 2014년 브랜드 캉스푸(康師傅)로 유명한 대만 최대 식품기업 딩신(頂新)그룹과 대만 남부 식용유 제조업체 창관(强冠)의 식용유 파동 발생

  - 2015년에도 미역, 후추, 녹두 등의 식품과 더불어 대만 유명 차 프랜차이즈들의 찻잎 농약문제 등 지속적으로 식품관련 문제 발생 중

  - 특히 대만 소비자들은 대만식품, 수입식품 가릴 것 없이 어느 하나 믿을 것이 없어 문제 제품인 것을 알면서도 사먹는 입장임.

 

 ○ 일본 식품의 위기, 한국 식품의 기회로 이어져야

  - 현재 한국과 일본의 수출식품 품목 중 사과와 같은 과일에서부터 과자에 이르기까지 수출품목이 상당 부분 겹쳐 경쟁이 불가피한 상황임.

  - 대만의 일본 식품 수입규제 강화 조치는 대만 시장에서 한국 식품의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음.

  - 또한 대만 위생복리부는 잇따른 식품파동에 엄격한 식품규제를 실시할 것을 공공연히 발표해 왔음.

  - 우리 기업은 대만 수출식품에 대해 더욱더 철저한 품질검사를 실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

  - 더불어 이번 일본 식품의 위기를 틈타 우리 기업은 대만 소비자에게 신뢰를 구축, 한국 식품의 대만시장 내 반등의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음.

 

 

자료원: 대만 위생복리부 식물약품관리서(台灣衛生福利部 藥物管理署), 대만 장화현 위생국(彰化縣衛生局), 대만경제연구원 바이오산업센터(台灣經濟硏究院 生物科技産業中心), 대만 해관 수출입국, 자유시보(自由時報), 핑궈일보(□果日報), 영국 BBC, KOTRA 타이베이 무역관 자료 종합

 

< 저작권자 ⓒ KOTRA & globalwindow.org >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해외진출을 계획만 하고 있어도 모든 상담이 가능 하며, 전문 컨설턴트가 쇼핑몰을 오픈할 때까지 모든 과정을 함께 합니다.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
상담 신청하기
+ 더보기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필수)

개인정보 항목 목적 보유기간
이름, 전화번호 메이크글로벌 서비스 이용관련 상담에 대한 답변 상담 답변 시까지
(*단, 타 법령에 의해 보존의무가 있는 경우, 법령이 지정한 기간동안 보존)

*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필수) 거부 시, 상담신청이 불가능합니다.

고객센터

상담을 원하시는 서비스를 선택하세요.

담당자 확인 후 즉시 연락 드리겠습니다.

  •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필수)

    개인정보 항목 목적 보유기간
    이름, 전화번호 메이크글로벌 서비스 이용관련 상담에 대한 답변 상담 답변 시까지
    (*단, 타 법령에 의해 보존의무가 있는 경우, 법령이 지정한 기간동안 보존)

    * 개인정보 수집이용 동의(필수) 거부 시, 상담신청이 불가능합니다.

  • 상담신청하기>